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엘라스틱서치] 엘라스틱서치 설치하기 - 윈도우 #1

Development/Elastic Search(엘라스틱서치)

by J-Developer 2020. 4. 5. 20:05

본문

반응형

엘라스틱 서치를 공부를 시작하려고 한다.

책을 읽고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는 것이지만, 공부한 것들을 이곳에 남기자고 생각했다.

한 번에 많은 양을 남기진 못하더라도 하나씩 해보자.

 

우선 엘라스틱 서치를 설치해보려고 한다.

 

엘라스틱 서치는 자바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실행 시 반드시 자바 런타임이 필요하다.

책에서는 JDK 1.8 이상을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여기서는 엘라스틱 서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남겨놓을 것이기 때문에 JDK를 설치가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도록 하겠다.

엘라스틱 서치의 최신 버전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www.elastic.co/kr/elasticsearch

 

Elasticsearch: 공식 분산형 검색 분석 엔진 | Elastic

Elasticsearch를 처음 사용하시나요? 바로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동영상 보기 Elasticsearch 엔지니어링 트레이닝을 통해 Elasticsearch 작업의 강력한 기반을 마련하세요. 트레이닝 보기 관련성, 텍스트 분석 등을 튜닝할 수 있는 고급 Elasticsearch 기술을 쌓으세요. 트레이닝 보기

www.elastic.co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하단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뜰 것이다.

해당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무료로 시작 버튼을 클릭한다.

중앙에 이메일 주소를 입력 후 무료 체험판 시작 버튼을 눌러도 같은 화면이 뜬다.

 

 

 

 

 

 

그러면 다음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우리는 오늘 엘라스틱 서치만 설치할 것이기에 엘라스틱 서치 하단의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자.

 

 

 

 

그러면 이제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각자의 맞는 운영체제의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되지만 내가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는 Windows이기에 Window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하였다.

 

 

 

 

Windows 기반으로 다운로드 후 해당 폴더에 이렇게 압출을 풀면 된다.

 

압축이 다 풀리면 실행을 시켜야 한다.

 

Windows 실행방법

 

1. 시작 + R을 누러 실행창을 열고 cmd(커맨드)를 입력하여 커맨드 창을 띄운다.

2. 명령 프롬프트에서 cd명령어로 압축을 푼 엘라스틱 경로로 이동한다.

3. 해당 경로 안에 bin 폴더로 이동한 후 elasticsearch.bat을 입력하여 엘라스틱 서치를 실행한다.

4. 실행을 하면 여러 문구들이 쭉 나오다가 마지막에 포트번호와 started라는 문구가 나오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것이다.

 

 

본인의 운영체제가 Windows라서 Linux환경의 실행방법을 캡처하진 못했지만 Linux의 실행 방법은 글로만 작성해보겠다.

 

Linux 및 맥 OS 실행방법도 Windows와 똑같이 압축을 푼 후 해당 디렉토리 안에 bin 폴더로 이동하여 elasticsearch 파일을 실행시켜주면 된다.

 

./elasticsearch

 

 

엘라스틱 서치가 실행이 되었기 때문에 웹브라우저에서 접속을 할 수 있다.

어떠한 설정을 변경하지 않았다면 엘라스틱 서치의 포트는 9200으로 접속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접속을 하면 엘라스틱 서치의 클러스터 이름과 버전 정보가 나타날 것이다.

 

여기서 cluster_name은 엘라스틱 서치 클러스터를 구분하는 중요한 속성이다.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elasticsearch로 자동 설정이 된다고 한다.

 

엘라스틱 서치를 종료하고 싶은 경우에는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Ctrl + C를 눌러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그냥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우측 상단의 X를 눌러 종료해도 되는것 같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