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엘라스틱서치 공부를 하려다 개인적인 사정이 생겨 윈도우에서 엘라스틱서치 설치만 해보고 진도를 나가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제 시간적 여유가 좀 생겨 다시 공부를 진행해보려고 한다.
이번에는 맥OS에서 엘라스틱서치를 설치해보려고 한다.
엘라스틱 서치는 자바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실행 시 반드시 자바 런타임이 필요하다.
책에서는 JDK 1.8 이상을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여기서는 엘라스틱 서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남겨놓을 것이기 때문에 JDK를 설치가 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도록 하겠다.
엘라스틱 서치의 최신 버전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s://www.elastic.co/kr/elasticsearch
Elasticsearch: 공식 분산형 검색 및 분석 엔진 | Elastic
Elasticsearch는 속도, 수평적 확장성, 안정성 및 간편한 관리를 위해 설계된 선도적인 분산형 RESTful 무료 오픈 소스 검색 및 분석 엔진입니다. 무료로 시작하세요.
www.elastic.co
시간이 많이지나 엘라스틱 홈페이지의 UI가 다르긴하지만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하단의 이미지와 같이 무료로 시작 버튼을 클릭해준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페이지에서는 다운로드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이제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각자의 맞는 운영체제의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나는 맥OS이므로 맥OS버전을 다운로드 하였다.
다운로드 받은 압축 파일을 압축을 풀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나온다.
이제 엘라스틱서치를 실행을 시켜보자.
해당 Finder에서 bin으로 이동하여 elasticsearch파일을 실행시켜도 되고, 터미널로 압축 푼 경로/bin으로 이동하여 elasticsearch을 실행시켜줘도 된다.
./elasticsearch
로그중에 started가 나왔으니 성공한거 같다.
이제 브라우져에 http://localhost:9200/을 입력해보면 엘라스틱서치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d 옵션을 추가해서 실행하면 백그라운드로 실행할 수 있다.
./elasticsearch -d
백그라운드로 실행 후 상위로 이동하여 로그를 확인해보면 아까와 같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cat ../logs/elasticsearch.log
그 후 curl명령어를 사용하여 엘라스틱 서치 프로세스 정보를 REST API로 호출할 수 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
백그라운드 실행이 아닐경우 터미널을 종료하면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종료하였지만 백그라운드 실행 시 해당 프로세스의 pid를 확인하여 kill명령어로 강제종료 해주면 된다.
ps -ef | grep elasticsearch
kill 2931
[엘라스틱서치] 엘라스틱서치 데이터 처리 #4 (0) | 2021.03.29 |
---|---|
[엘라스틱서치] 엘라스틱서치 head 플러그인 설치 #3 (0) | 2021.03.21 |
[엘라스틱서치] 엘라스틱서치 설치하기 - 윈도우 #1 (0) | 2020.04.05 |
댓글 영역